📈 삼성전자 주가전망 2025: D램 가격 상승의 최대 수혜주!

삼성전자가 다시 한 번 반도체 시장의 중심에 섰습니다.
최근 D램(DDR5) 가격이 급등하면서, 글로벌 시장의 공급부족 현상이 본격화되고 있기 때문인데요.
KB증권은 이에 따라 삼성전자 목표주가를 13만 원으로 유지하며 ‘Buy(매수)’ 의견을 유지했습니다.
성전자가 이번 D램 사이클의 최대 수혜주’로 꼽히는지, 그리고 향후 주가 전망은 어떤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D램 가격 상승, 왜 중요한가?

현재 전 세계 클라우드 기업(CSP)들이 AI 서버 확장 경쟁에 뛰어들며,
서버 한 대당 D램 탑재 용량이 전년 대비 15~20% 이상 늘어날 전망입니다.
즉, **AI 시대의 핵심 자원은 ‘메모리 반도체’**이며, 그 중심에 삼성전자가 있습니다.

  • 2025년 D램 수요: 전년 대비 +20% 증가 전망
  • 공급 증가율은 그보다 낮아 공급 부족 심화 예상
  • 4분기 D램 평균판매단가(ASP): 기존 전망 대비 +10~15% 추가 상승

결국 삼성전자 같은 메모리 생산 대기업에게는 가격 인상 + 수익성 개선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기회가 열리고 있습니다.


🔍 삼성전자 실적 전망: 2026년, 2018년 이후 최대 실적 기대

KB증권은 삼성전자의 2026년 실적을
영업이익 64조 원(+78% YoY),
**지배주주순이익 6.1조 원(+67% YoY)**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는 2018년 ‘슈퍼사이클’ 이후 최대 수준의 실적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2026년부터는 DDR5 D램의 마진이 HBM3E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며,
AI 반도체 중심에서 다시 일반 서버용 D램이 주력 수익원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큽니다.


🚀 삼성전자, 왜 ‘AI 최대 수혜주’인가?

  1. 글로벌 빅테크와의 협력 강화
    • 엔비디아(NVIDIA), 오픈AI, AMD, 브로드컴 등 주요 기업들이
      HBM 공급망을 다변화하면서 삼성전자의 입지가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2. AI 칩 수주 확대
    • 테슬라의 AI5, AI6 칩 파운드리 수주,
      엑시노스 2600의 갤럭시 S26 탑재 등으로
      시스템 반도체 부문 역시 턴어라운드가 시작됐습니다.
  3. 생산능력 조절을 통한 가격 협상력 상승
    • DDR5와 HBM 생산 비중 조절로 수익성 중심의 전략 전환.
    • 미국 경쟁사 대비 안정적인 생산 및 고객 네트워크 보유.

즉, 삼성전자는 AI·서버·스마트폰 등 전방 산업 전반의 메모리 수요 회복을 한 몸에 받는 구조입니다.


📊 주요 지표 요약 (KB증권 기준)

항목 2024년 2025E 2026E
매출액 300.9조원 322.7조원 365.9조원
영업이익 32.7조원 36.0조원 64.2조원
영업이익률 10.9% 11.1% 17.5%
EPS 4,950원 5,431원 9,053원
ROE 9.0% 9.2% 14.1%
목표주가 130,000원 (Buy)    

현재 주가(10/23 기준)는 96,500원,
목표주가 대비 약 36%의 상승 여력이 남아 있는 상태입니다.


📉 리스크 요인도 점검해야

  • D램 가격 상승률이 +9% 이하로 둔화될 경우, 이익 개선 폭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글로벌 경기 둔화 시 서버 및 스마트폰 수요 회복이 지연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 경쟁사(특히 미국, 대만)의 HBM4 양산 시점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삼성전자는 **세계 최대 메모리 생산능력(시장점유율 40% 이상)**을 보유하고 있어
이런 리스크를 충분히 방어할 체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 결론: “D램 사이클이 바뀐다, 삼성전자가 중심이다”

2025~2026년은 **‘AI 특수 + 서버 교체 수요’**가 동시에 맞물리는 시기입니다.
삼성전자는 메모리 시장의 공급자 우위 구조 속 가장 큰 수혜주로 꼽히고 있습니다.

  • 목표주가: 13만 원 (상승여력 36%)
  • 핵심 모멘텀: D램 가격 상승, AI 생태계 확장, 파운드리 턴어라운드
  • 리스크: 단기 조정 가능성, 공급사 경쟁

👉 투자자 입장에서는 분할 매수 전략으로 접근하는 것이 유효하며,
중장기(1~2년) 관점에서 저점 매수 후 보유 전략이 합리적으로 보입니다.


📚 참고 출처

  • KB증권 리서치센터 「삼성전자(005930): D램 가격 상승 최대 수혜」(2025.10.24, 김동원·강다현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