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일반 투자자 여러분! 최근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의료용 로봇 시장에 대해 알아보고, 관련 유망 기업들을 쉽게 분석해 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1. 의료용 로봇, 과연 무엇일까요?
의료용 로봇은 간단히 말해 의사의 의료 행위를 돕거나 일부를 대신하는 시스템입니다. 수술, 재활, 진단, 생검(조직 채취), 원격 시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 전문 서비스용 로봇의 한 종류로 분류됩니다.
| 분류 | 주요 역할 및 특징 |
| 수술 로봇 | 최소 침습이나 정밀 수술을 위해 의료진이 조종하거나 자동화되어 사용되며, 절개 범위 축소, 정확성 향상, 회복 기간 단축이 목적입니다. (예: 복강경, 정형외과, 신경외과 수술 로봇 등) |
| 재활 및 보행 보조 로봇 | 뇌졸중, 척수 손상 등의 환자 운동 능력 회복을 위해 관절, 근력, 보행 동작을 보조하거나 훈련을 제공합니다. |
| 영상 진단 및 생검 로봇 | CT, MRI 등의 의료 영상을 기반으로 병변 위치를 정확히 찾고, 조직 채취나 시술 바늘 삽입을 자동/반자동으로 지원하는 시스템입니다. |
| 원격 수술 및 AI 연동형 로봇 | 5G, AI 기술을 활용하여 원거리에서 의료진의 조종을 전달하거나 자체적으로 의료 행위를 지원하는 차세대 플랫폼입니다. |
2. 의료용 로봇 시장, 얼마나 성장할까요?
의료용 로봇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나 국내에서나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 글로벌 시장 전망
- 2024년 규모: 약 130억 ~ 160억 달러 수준으로 추정됩니다
- 성장률 (CAGR): 연평균 15~17% 수준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 2030년 예상 규모: 보수적으로는 500억 달러, 공격적으로는 최대 700억 달러 규모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선두 기업: 다빈치 수술 로봇으로 유명한 미국의 Intuitive Surgical이 전체 시장의 약 57%를 차지하며 시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 국내 시장 전망
- 2024년 규모: 약 0.9조 ~ 1.2조 원 규모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 성장률 (CAGR): 글로벌 시장보다 성장 탄력이 더 클 것으로 평가되며, 연평균 18~20% 수준으로 전망됩니다.
- 2030년 예상 규모: 1.5조 ~ 2조 원 규모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성장 요인:
- 상급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한 수술 및 재활 로봇 도입 확대.
- 정부의 디지털 헬스케어 및 첨단 의료기기 육성 정책.
- 보험 및 인허가 제도 개선.
- 국산화 및 병원-기업 간 협력 확대.
3. 관심 기업 분석 (feat. 고영, 큐렉소, 더블유에스아이)
국내 상장사 중 의료용 로봇 관련 주요 기업은 고영, 큐렉소, 더블유에스아이 등이 있습니다.
🔎 고영(098460): 국내 뇌수술 로봇 선두주자, 美 시장 공략 본격화
- 주요 사업: 본래 3D 측정 기반 검사 장비(반도체/전자) 제조가 주력이나 , 2020년 뇌수술용 의료로봇 'KYMERO(카이메로)'를 출시하며 사업 영역을 확장했습니다.
- 핵심 제품: 뇌수술용 의료로봇은 로보틱스와 3차원 비전 기술이 결합되어 뇌전증, 파킨슨병, 뇌종양 등 다양한 뇌질환 수술에 사용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해외 진출: 2025년 1월, 카이메로의 글로벌 브랜드인 '지니언트 크래니얼'이 미국 FDA 최종 인허가를 획득했으며 , 7월부터 미국 시장에 본격 진출하여 3년간 누적판매량 100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투자 포인트: 로봇 판매 후에는 고가의 소모품 판매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 로봇 공급 확대 이후 안정적인 실적 성장이 기대됩니다. 미국 시장 진출을 시작으로 일본, 중국, 동남아 등 글로벌 시장 확대도 기대됩니다.
- 시가총액: 11,527억 원 (2025.10.21 기준)
🔎 큐렉소(060280): 정형외과 수술 로봇 시장에서 두각
- 주요 사업: 의료로봇, 임플란트, 무역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 의료로봇 분야에서는 정형외과 수술 로봇과 재활 치료 로봇을 주력으로 합니다.
- 핵심 제품
- 큐비스-조인트(Cuvis-joint): 인공 관절 수술 시 인공 관절을 보다 정확히 삽입하도록 돕는 수술 로봇 시스템입니다. 해외는 인도, 말레이시아, 일본 등에 공급되고 있으며, 2026년 미국 FDA 최종 승인을 목표로 인허가 신청을 진행 중입니다.
- 큐비스-스파인(CUVIS-spine): 척추경 나사못을 정확한 위치로 안내하고 지지해주는 척추 수술 로봇 시스템입니다.
- 모닝워크: 착석형 체중지지 방식으로 맞춤형 재활 치료가 가능한 보행 재활 로봇입니다.
- 투자 포인트: 정형외과 및 재활 분야를 아우르는 전문성을 바탕으로 국내외 시장을 확대하고 있으며 , 큐비스-조인트의 유럽 CE 인증(올해 내 기대) 및 미국 FDA 승인(26년 목표)이 실적 반등의 신호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시가총액: 4,495억 원 (2025.10.21 기준)
🔎 더블유에스아이(299170): 저평가된 기업, 산부인과 로봇 '유봇' 상용화 기대
- 주요 사업: 의약품/의료기기 유통이 주 사업이나 , 종속회사 이지메디봇을 통해 의료용 로봇 개발 및 제조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핵심 제품
- 유봇(U-BOT): 산부인과 복강경 수술 및 약물 주입을 위한 보조 로봇 시스템입니다. 장시간 수술 보조 인력을 대체하여 의료 인력난 해소, 수술 시간 단축, 정확성 향상 등의 효과가 기대됩니다.
- 다빈치 등 기존 수술 로봇과 병용 사용이 가능하여 시장 확대에 따른 구조적 성장이 기대됩니다.
- 차세대 계획: 유봇을 시작으로 뇌 수술용 로봇 '비봇(B-BOT)', 심혈관용 로봇 '씨봇(C-BOT)' 등 차세대 라인업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투자 포인트: 유봇 상용화 이후에는 **소모품(Utru GyneX)**의 지속적인 사용을 통해 반복적 매출 구조가 형성되어 높은 사업 확장성을 갖습니다. 현재 로봇 기업 중 가장 저평가되었다는 평가와 함께 , 의료용 로봇 사업이 부각되는 시점부터 주가 재평가 가능성이 높습니다.
- 시가총액: 697억 원 (2025.10.21 기준)
이 내용은 독립리서치 ARIS 산업보고서를 바탕으로 2025년 10월 21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면책 조항: 이 글은 독립리서치 자료를 바탕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교육하기 위한 목적일 뿐이며, 특정 종목에 대한 투자 권유나 주식 가치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투자 결정은 반드시 본인 스스로 하셔야 하며, 투자 행위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