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6 인터넷·게임 산업전망: 실체화의 시간
NAVER·카카오·삼성에스디에스·더존비즈온·크래프톤·엔씨소프트·넷마블·더블유게임즈 분석
1️⃣ 2025년, 기대감으로만 움직였던 주가
2025년 한 해 동안 인터넷·소프트웨어 업종은 전반적으로 AI 정책 기대감과 신규 사업 확장 기대에 의해 움직였습니다.
하지만 실적이 뒷받침되지 않아 주가 상승은 제한적이었죠.
특히 게임 업종은 신작 소식에도 불구하고 시장 반응이 미미했습니다.
‘붉은사막’, ‘아이온2’ 등 대형 타이틀 기대감은 있었지만, 실제 흥행 성과가 확인되지 않아 반등이 약했습니다.
즉, ‘기대감의 장세’는 끝나가고 ‘실체의 장세’로 넘어가는 시기입니다.
2️⃣ 2026년 키워드: 결제·클라우드·에이전트
2026년부터는 AI와 결제·클라우드 인프라·에이전트가 중심축으로 자리할 전망입니다.
한화투자증권은 이 세 분야를 **“인터넷 다음 시대의 핵심 축”**이라고 명명했습니다.
- 결제 인프라(Payment Infra)
구글, 애플, 오픈AI 등 글로벌 기업들은 AI와 블록체인을 결합해 스테이블코인 기반 자동결제 생태계를 구축 중입니다.
한국에서도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토스가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준비하며, 제도화가 빠르게 진전되고 있습니다.
2025년 하반기 기준으로 관련 법안이 이미 국회에 다수 상정되어 있으며, 11월 정부안 발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 클라우드 인프라(Cloud Infra)
데이터센터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삼성에스디에스, LG CNS, KT, 네이버클라우드 등 국내 CSP들은 AI 전용 데이터센터 투자를 확대 중이며,
특히 삼성에스디에스는 오픈AI와 파트너십을 체결해 ‘국가 AI 컴퓨팅센터’ 구축사업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향후 해남, 구미, 대구 등지에서 2조 원대 규모의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가 추진됩니다. - AI 에이전트(AI Agent)
카카오는 ChatGPT를 카카오톡에 연동해 B2C 구독형 AI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월 2만9천 원의 유료 구독 기반으로 초기에는 체류시간·브랜드 강화 목적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커머스·광고·콘텐츠 재편의 중심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네이버 역시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AI 국민비서’ 구축사업에 참여 중입니다.
3️⃣ 기업별 핵심 분석
■ NAVER (035420)
- 핵심 포인트: AI 버티컬 에이전트 상용화
- 2026 전망: 매출 13.6조 원(+11.9%), 영업이익 2.4조 원(+10.9%)
- 강점: 쇼핑·검색·핀테크 중심 성장, 컬리 제휴로 트래픽 반등
- 투자의견: Buy 유지 / 목표주가 34만 원
- 전망 요약: 스테이블코인 제도화가 현실화되면 디지털 자산·결제 사업이 본격 성장세에 진입할 것.
■ 카카오 (035720)
- 핵심 포인트: 카카오톡 내 AI 에이전트·톡비즈 수익 회복
- 2026 전망: 광고 매출 YoY +12% 이상 반등, 톡비즈 비중 57% 예상
- 강점: 메신저 기반 생태계, 오픈AI 협력, 원화 스테이블코인 추진
- 투자의견: Buy 유지 / 목표주가 8만5천 원
- 전망 요약: ‘톡+AI+결제’의 결합으로 플랫폼 수익성 반등이 가시화될 전망.
■ 삼성에스디에스 (018260)
- 핵심 포인트: 클라우드·MSP 매출 동반 성장
- 2026 전망: 영업이익 8,000억 원대(+8%) 예상
- 강점: 오픈AI 파트너십, 국가 AI 컴퓨팅센터 단독 입찰
- 투자의견: Buy 유지 / 목표주가 21만 원
- 전망 요약: 공공·AI 클라우드 수요 급증, 대규모 정부 프로젝트 수주 가능성↑.
■ 더존비즈온 (012510)
- 핵심 포인트: 클라우드 ERP, AI SaaS 확장
- 2026 전망: 영업이익 +14.3%, PER 31배 수준
- 강점: 국내 기업용 SaaS 시장의 독보적 위치
- 투자의견: Buy / 목표주가 10만 원 (상향)
- 전망 요약: 클라우드 전환 수요 증가에 따른 구조적 성장 기대.
■ 크래프톤 (259960)
- 핵심 포인트: 신작 ‘Project Windless’, ‘서브노티카2’ 등 글로벌 콘솔 공략
- 2026 전망: 매출 +14%, 영업이익 +18%
- 투자의견: Buy 유지 / 목표주가 38만 원
- 전망 요약: 글로벌 콘솔 시장 진출 본격화, 다만 신작 성과에 따라 변동성 클 것.
■ 엔씨소프트 (036570)
- 핵심 포인트: ‘아이온2’, ‘TL2’ 중심 신작 출시 모멘텀
- 2026 전망: 영업이익 +287%, 신작 효과 반영
- 투자의견: Buy 유지 / 목표주가 28만 원
- 전망 요약: ‘아이온2’ 흥행 여부가 주가 방향의 핵심 변수.
■ 넷마블 (251270)
- 핵심 포인트: ‘나혼렙: KARMA’ 등 IP 활용작 중심
- 투자의견: Hold / 목표주가 6만 원
- 전망 요약: 성장성 제한적, 중박 이상 흥행 없이는 상승 탄력 약함.
■ 더블유게임즈 (192080)
- 핵심 포인트: 북미 카지노형 모바일게임 매출 안정
- 투자의견: Buy 유지 / 목표주가 7만2천 원
- 전망 요약: 꾸준한 현금흐름과 높은 수익성으로 안정적 배당형 성장주.
4️⃣ 투자전략 종합
2026년은 **“기대감에서 실체로 넘어가는 해”**가 될 전망입니다.
- AI 산업의 중심축인 결제·클라우드·에이전트의 실적이 실제로 드러나기 시작하는 시기
- 인터넷/SW 업종 비중 확대를 권고 (특히 NAVER·카카오·삼성SDS 중심)
- 게임주는 단기 트레이딩 접근, 신작 흥행이 확인되기 전까지 중장기 모멘텀은 제한적
📈 결론: ‘실체화의 시간’, AI 시대의 진짜 승자를 주목하라
AI가 더 이상 개념이 아닌 ‘실행의 기술’이 되는 시점,
결제 인프라와 클라우드, 에이전트를 모두 아우르는 기업이 2026년 주도주가 될 것입니다.
한국 시장에서는 카카오·NAVER·삼성SDS가 그 중심축입니다.
출처: 한화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인터넷/게임 2026 산업전망: 실체화의 시간」 (김소혜,김나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