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034730) 주주환원 확대 기대…2025 투자 포인트 총정리
SK홀딩스(지주회사)가 다시 시장의 관심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2025년 들어 그룹 전체의 자산 구조조정과 자회사 통합, 그리고 자사주 소각 의무화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주주환원 확대 기대감이 크게 높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NH투자증권은 이번 분석을 통해 SK 목표주가를 기존 301,000원에서 330,000원으로 상향했고, 현재 주가 기준 NAV(순자산가치) 대비 57% 할인 상태라고 평가했습니다.
즉, “본질 가치보다 시장에서 너무 싸게 거래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 SK 투자 핵심 요약
- 목표주가 330,000원으로 상향
- 자사주 소각 의무화 추진 → SK 보유 자사주 24.8% 가치 부각
- SK이노베이션·E&S 합병 영향, 실적 개선세 확인
- 비상장 핵심 자회사 가치 재평가 가능성
- 배당 + 자사주 매입 계획 유지 (최소 5,000원 배당 + 시총 1~2% 자사주 매입)
- 현재 주가: NAV 대비 57.4% 할인 → 저평가 매력 부각
1. SK가 주목받는 이유: “주주환원 강화”
■ 1) 자사주 24.8% 보유…의무 소각 시 기업가치 재평가
SK는 전체 보통주의 24.8%를 자사주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지주사 중에서도 매우 높은 수준이며, 최근 정부와 국회에서 논의 중인 ‘자사주 소각 의무화’ 법안과 맞물리면서 시장의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
자사주 소각은 쉽게 말해 발행주식 수가 줄어들어 주당 가치가 자동 상승하는 효과입니다.
자사주 소각 의무화 → SK 기업가치 재평가 가능성 확대
NH투자증권은 이 부분을 SK의 가장 중요한 주가 상승 요인으로 꼽았습니다.
■ 2) 연간 최소 배당 5,000원 + 자사주 매입 정책 유지
SK는 이전부터 최소 주당 5,000원의 배당을 약속해왔고,
여기에 시가총액의 1~2% 규모 자사주 매입을 매년 실시하겠다는 계획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최근 그룹 차원의 자산 매각(판교 데이터센터, SK스페셜티 등)도 이어지고 있어,
자회사 배당수익이 일시적으로 감소하더라도 배당 여력은 충분히 확보될 것으로 분석됩니다.
2. 3분기 실적: SK이노베이션 반등이 주가에 긍정적
SK의 2025년 3분기 실적은 시장 컨센서스를 상회했습니다.
■ 3분기 주요 실적
- 매출 31조 414억원 (+1.3% YoY)
- 영업이익 8,274억원 (+61.3% YoY)
주요 이유는 SK이노베이션의 실적 회복입니다.
정제마진 개선 + 유가 상승이 실적 반등을 이끌었고,
SK AX(IT 서비스), SK실트론, SK팜테코 등 자회사들도 복합적으로 이익 개선에 기여했습니다.
■ 자회사별 핵심 흐름
| 자회사 | 주요 내용 |
| SK이노베이션 | 정제마진 회복, 유가 상승 → 이익 큰 폭 증가 |
| SK AX | 신규 프로젝트 확대 + AI 솔루션 도입 → 수익성 개선 |
| SK실트론 | 웨이퍼 선구매 감소 영향 → 상반기 부진 지속 |
| SK팜테코 | CGT 인력 효율화 → 적자 폭 축소 |
특히 SK이노베이션의 턴어라운드는 향후 SK 전체 NAV에 긍정적입니다.
지주사 주가는 결국 “보유 자산 가치 합산”으로 평가되기 때문입니다.
3. SK Valuation: NAV 대비 57% 할인…역사적으로도 매우 저평가
SK의 핵심 가치는 상장·비상장 자회사들의 지분 가치 합산입니다.
NH투자증권은 이를 기준으로 NAV를 Calculate 했습니다.
■ SK 순자산가치(NAV) 구성 요소
- 투자자산 가치: 약 47.8조원
- SK이노베이션
- SK텔레콤
- SK스퀘어
- SK바이오팜
- SKC
- SK네트웍스
- SK리츠 등
- 비상장: SK에코플랜트·SK실트론·SK팜테코 등
- 사업부문 가치(SK AX): 약 1.4조원
- 상표권 가치: 약 3.1조원
- 자사주 가치 반영: 4.6조원
이를 모두 합친 기업가치는 52.3조원,
여기서 순차입금 8조원을 제외하면 NAV는 44.3조원입니다.
■ SK 주가가 어느 정도 저평가인가?
- 주당 NAV: 605,977원
- 현재 주가: 258,000원
- 할인율: -57.4%
즉, 원래 가치의 절반 가격 이하에 거래되는 셈입니다.
지주사 평균 대비도 낮은 수준으로, SK가 “가장 저평가된 지주사 그룹”이라는 평가가 이어지는 이유입니다.
4. 배당·현금흐름 전망: 주주환원이 지속가능한 이유
■ 배당 정책 유지
- 최소 연간 5,000원 지급
- 2025년 예상 배당: 7,500원
- 배당성향은 향후 10~15% 수준으로 전망
■ 현금흐름 안정성
SK는 현금 창출 능력(EBITDA)이 매년 회복되는 구조입니다.
- 2024년 1조 739억
- 2025년 1조 1,186억
- 2026년 1조 3,147억
- 2027년 1조 4,266억
EBITDA 증가 → 배당 + 자사주 매입의 재원 확보
특히 SK그룹은 최근 몇 년간 적극적인 포트폴리오 조정(자산 매각 + 합병)을 진행하며
재무 건정성을 높이고 있어 현금 배당 확장 여력은 충분합니다.
5. 향후 SK 주가의 상승 요인
■ 1) 자사주 소각 의무화 법안 통과 가능성
가장 강력한 주가 모멘텀.
■ 2) 주력 자회사 주가 상승
특히 가치가 큰 SK스퀘어·SK이노베이션의 주가 흐름이 중요합니다.
■ 3) 비상장 자회사 IPO 또는 가치 재평가
- SK에코플랜트
- SK실트론
- SK팜테코
비상장 자산의 시장가치 상승은 NAV를 움직입니다.
■ 4) SK온 실적 개선 가능성
현재 그룹 리스크 중 하나이지만, 개선 시 지주사 가치 재평가 폭이 매우 큼.
6. SK 투자 판단: “저평가 + 주주환원 + 구조조정” 삼박자
2025년 SK는
- 지주사 할인 해소를 위한 주주환원 강화,
- 자산 매각에 따른 재무구조 개선,
- 주요 자회사 실적 반등,
- 네거티브 요인 축소(SK온 리스크 둔화)
이 네 가지 모멘텀을 모두 동시에 갖춘 상황입니다.
NH투자증권이 목표주가를 올린 이유 역시 지속 가능한 구조 변화 때문입니다.
✔ “현재 주가가 너무 싸다”
✔ “주주환원은 앞으로 더 강해질 가능성이 높다”
✔ “SK 계열사 지분 가치가 재평가될 시점이 다가온다”
SK는 중장기적으로 할인율 축소 = 주가 상승 구조가 가장 명확한 지주사 중 하나입니다.
■ 결론: SK는 2025년 가장 주목해야 할 지주사 종목
- 목표주가: 330,000원
- 현재 주가: 258,000원 수준
- 할인율 57% → 역사적으로 가장 낮은 구간
- 자사주 소각 논의로 가치 재평가 기대
- 자회사 실적 개선 흐름 진입
- 배당 + 자사주 매입 정책 유지
장기 투자자라면 SK는 “밸류 상승 여력이 가장 명확한 지주사”입니다. 적극적으로 분석해볼 가치가 충분한 시점입니다.
📌 참고 출처: [NH투자증권 Analyst 이승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