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기(009150) – AI 수혜의 본격 시작, 2026년 실적 상향과 최고가 기대

AI 시대가 열리면서 반도체뿐 아니라 관련 전자부품 기업들의 성장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삼성전기(009150)**는 AI 가속기용 패키지 기판과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수요 증가의 직접적인 수혜를 받으며
새로운 실적 사이클의 초입에 서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1️⃣ 투자의견 ‘매수(BUY)’ 유지, 목표주가 26만 원으로 상향

대신증권은 2025년 10월 20일 리포트에서
삼성전기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22.5만 원에서 26만 원으로 상향(약 +15.6%)**했습니다.

이번 목표가 상향은 단순한 단기 실적 개선이 아니라,
AI 및 전장용 중심의 포트폴리오 전환에 따른 장기 성장 기대가 반영된 결과입니다.

  • 현재 주가(10월 17일 기준): 207,000원
  • 목표주가: 260,000원
  • 예상 상승 여력: 약 25%

2️⃣ AI 시대, ‘FC BGA’와 ‘MLCC’가 이끄는 실적 레벨업

삼성전기는 과거 스마트폰·PC 중심의 사업 구조에서 벗어나,
이제 AI 서버 및 전장용 고부가 제품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 FC BGA(패키지 기판)

  • AI 가속기용 고수익 제품으로 매출 비중 확대
  • 아마존, AMD, 오라클 등 빅테크향 수주 증가
  • 2026년에는 구글, 메타, 브로드컴 등으로 공급처 확대 예상
  • 2025년 기판사업 매출의 50% 이상이 FC BGA 중심으로 전환

이로 인해 2026년 기판사업의 수익성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 AI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에 따라 산업용·전장용 MLCC 수요 급증
  • 공급업체가 삼성전기와 일본 무라타로 한정되어 있어 가격 인상 가능성 존재
  • 산업용/전장용 매출 비중이 2026년 57%까지 상승 전망
  • 고부가 제품 비중 증가로 영업이익률 상향 가능성 확대

3️⃣ 2025~2027년, 실적 성장의 황금 구간 진입

삼성전기는 2025년 3분기부터 본격적인 실적 턴어라운드가 예상됩니다.
대신증권 추정치에 따르면,
2025년 3Q 영업이익은 2,607억 원으로 컨센서스 대비 +5.7% 상회,
4Q는 2,142억 원으로 +18.5% 상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2026년 영업이익: 1조 1,193억 원 (+26% YoY)
  • 2027년 영업이익: 1조 3,590억 원 (+21% YoY)
  • EPS(주당순이익): 2025년 8,372원 → 2026년 11,707원 (+11.7%)

이는 단순한 일회성 반등이 아니라,
AI·전장 중심의 사업구조가 이익 레벨 자체를 끌어올리는 구조적 변화로 해석됩니다.


4️⃣ 유리기판 진출 가시화 – ‘밸류에이션 재평가’ 신호

2026년부터는 유리기판 사업 확대도 추진될 예정입니다.
AI 가속기용 기판 기술에서 기존 플라스틱 코어를 유리(TGV, Through Glass Via) 로 대체하는 기술 전환이 진행되고 있으며,
삼성전기는 이 시장 진입을 위한 양산 단계 투자를 준비 중입니다.

특히 독일 LPKF가 2027년 양산화를 전망하면서,
삼성전기의 유리기판 진입 시점도 예정보다 3년가량 앞당겨질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이는 일본 PCB 기업들이 독점해온 고수익 시장에 대한 도전이자,
삼성전기 밸류에이션(가치평가)의 재평가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5️⃣ 실적 요약 및 밸류에이션 지표

구분 2024A 2025F 2026F 2027F
매출액 10.3조 11.2조 12.1조 13.1조
영업이익 7,350억 8,890억 1조 1,190억 1조 3,590억
순이익 7,030억 6,730억 9,270억 1조 890억
영업이익률 7.1% 7.9% 9.2% 10.4%
ROE 8.2% 7.2% 9.3% 10.1%
목표 P/E 22.2배 (5년 상단 평균)      

6️⃣ 투자 포인트 정리

AI 시대 핵심 부품 공급사로 자리매김
→ FC BGA와 MLCC 모두 AI 가속기·데이터센터 투자 확대의 직접 수혜

2026년 이후 고성장 구간 진입
→ 3년 연속 영업이익 두 자릿수 성장 전망

유리기판 진출로 신규 성장동력 확보
→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가능성

밸류 안정성 및 재무건전성 양호
→ 부채비율 40% 수준, 순현금 전환 구조


7️⃣ 결론 – “AI 전환의 핵심, 삼성전기의 시대가 온다”

삼성전기는 과거 스마트폰 중심의 IT 부품 기업에서 벗어나
AI와 전장 중심의 고부가 전자부품 회사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2025년 하반기부터 2027년까지 이어질 AI 인프라 투자 붐,
그리고 유리기판 등 신기술 전환의 선제 대응
삼성전기를 새로운 고점으로 이끌 가능성이 높습니다.

📈 투자의견: 매수(BUY)
🎯 목표주가: 260,000원
🧭 핵심 키워드: AI, FC BGA, MLCC, 유리기판, 구조적 성장


출처: 대신증권 리서치센터, 「삼성전기(009150) - AI 수혜는 시작! 26년 실적 상향, 최고가 기대」(2025.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