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주가 전망 2025 — 인도 시장 성장 모멘텀에 주목

BNK투자증권이 2025년 10월 17일 발표한 리포트에 따르면, **LG전자(066570)**는 인도 시장에서의 성장 잠재력을 바탕으로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11만 원으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현재 주가는 8만 4,200원으로, 향후 약 30% 상승 여력이 있다는 분석입니다.


🔍 1. LG전자, 인도 가전 시장 1위의 저력

LG전자는 인도 가전제품 시장에서 확고한 선두를 달리고 있습니다.

  • TV 점유율 28%,
  • 냉장고 30%,
  • **세탁기 34%**로 주요 제품 대부분에서 1위를 기록하고 있죠.

특히 프리미엄 제품군에서는 더 높은 시장 지배력을 보이고 있습니다.

  • TV 63%, 냉장고 43%, 세탁기 37%, 에어컨(Room A/C) 27% 등으로
    고급 브랜드로서의 신뢰를 완전히 구축했습니다.

BNK투자증권은 LG전자가 보급형 신제품을 대거 출시하며 시장 저변을 확대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는 인도 가전 시장이 아직 ‘성장 초입 단계’에 있기 때문입니다.


🌏 2. 인도 시장, 여전히 ‘미개척된 블루오션’

현재 인도의 1인당 GDP는 3천 달러 미만 수준으로, 선진국에 비해 가전 보급률이 낮습니다.

  • TV 보급률 78%
  • 냉장고 35%
  • 세탁기 22%
  • 룸에어컨 13%

즉, 아직 가전 제품의 교체 수요보다 신규 구매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여지가 크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인도 정부는 최근 고가 가전제품에 대한 사치세 인하를 단행했으며,
LG전자가 추진 중인 **제3공장(2026년 하반기 완공 예정)**이 완공되면 생산 능력이 두 배로 증가할 전망입니다.
이로 인해 매출과 영업이익의 구조적 성장이 기대된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 3. 인도 자회사 IPO 흥행, 장기 가치 상승 신호

BNK투자증권에 따르면, LG전자는 최근 **인도 법인 IPO를 통해 약 15% 지분(약 1.8조 원 규모)**을 매각했습니다.
공모 청약 경쟁률은 54대 1로 인도 증시 역사상 두 번째로 높은 흥행을 기록했습니다.

현재 인도 법인의 시가총액은 약 18조 원 수준이며, 향후 3년 내 추가로 10% 지분 매각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 IPO는 단기적으로 모회사 주가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았지만,
장기적으로 LG전자 전체 기업가치 상승에 기여할 것으로 평가됩니다.


💹 4. 실적 전망 — 2025년 일시적 둔화 후, 2026년 회복세

LG전자의 연결기준 실적 전망(단위: 십억 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구분 | 2023 | 2024 | 2025E | 2026E |
|------|------|------|------|
| 매출액 | 82,263 | 87,728 | 88,022 | 92,293 |
| 영업이익 | 3,653 | 3,420 | 2,772 | 3,196 |
| 순이익(지배) | 713 | 368 | 928 | 969 |

2025년에는 일시적인 비용 부담으로 영업이익이 소폭 감소하겠지만,
2026년부터는 금리 인하 사이클 진입과 인도·전장 부문 성장세점진적인 실적 개선이 예상됩니다.

특히

  • VS(전장) 부문 영업이익률은 2025년 4.2% → 2026년 4.9%로 개선
  • ES(에어컨, 칠러) 부문도 안정적인 이익률 유지(약 8%)

전장, 에어컨 부문이 미래 성장의 핵심으로 꼽힙니다.


💰 5. 밸류에이션 및 투자 포인트

BNK투자증권은 이번 리포트에서

  • 목표주가: 110,000원 (기존 96,000원 대비 +14.6%)
  • P/B 기준 0.9배, 내년 P/EBIT 밴드 평균 6배로 산정했습니다.

현재 주가(84,200원) 대비 약 30.6% 상승 여력이 남아 있으며,
PER은 2025년 기준 16.3배 → 2026년 15.6배로 낮아지는 추세입니다.
즉, 성장성과 밸류 모두 안정적인 구간에 진입하고 있다는 평가입니다.


✅ 6. 종합 정리: LG전자는 ‘보수적 성장 + 글로벌 확장’의 조합

  1. 인도 시장 지배력: 가전 전 카테고리 1위, 브랜드 신뢰도 높음
  2. 생산능력 확대: 2026년 제3공장 완공으로 공급력 두 배
  3. 전장·에어컨 부문 성장세: 구조적 매출원 다변화
  4. 밸류에이션 매력: 낮은 PBR과 안정적인 수익률
  5. 장기 성장성: 인도법인 IPO 흥행, 향후 지분가치 상승 기대

📊 BNK투자증권 투자의견: 매수 유지
🎯 목표주가: 110,000원
📈 상승여력: 약 30%

LG전자는 단기 실적 부진 구간을 지나,
2026년부터 글로벌 수요 회복과 인도 시장 확대 효과
다시 한 번 성장 국면으로 진입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중장기 관점에서 ‘보유 또는 분할 매수’ 전략이 유효하다는 의견입니다.


출처: BNK투자증권 리서치센터, 〈LG전자 기업분석 리포트〉 (2025.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