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반도체 시장 전망: NAND 공급 부족과 eSSD 수요 폭발

2025년 하반기, 글로벌 반도체 시장이 다시 한 번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낸드플래시(NAND Flash) 시장에서는 공급 제약이 지속되는 가운데, eSSD(기업용 SSD) 중심으로 수요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습니다.
이번 변화의 핵심은 QLC(Quad-Level Cell) 기술 전환과 AI 데이터 저장 수요 증가입니다.


📈 1. 공급 부족, 2026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가능성 높다

IBK투자증권 리포트에 따르면, 2025년 3분기(3Q25) 반도체 시장은 PC·스마트폰 성수기와 기업(엔터프라이즈) 수요가 맞물리며 공급이 빠듯한 상황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공급 제약은 **2026년 상반기(1H26)**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합니다.

기업용 서버 시장의 확장이 NAND 수요를 크게 끌어올리고 있으며, 특히 eSSD 제품은 본격적인 상승 사이클에 진입했습니다. 이 추세는 2026년까지 지속될 전망입니다.


💾 2. QLC eSSD, HDD를 빠르게 대체 중

최근 몇 년간 데이터센터에서는 HDD(하드디스크) 대신 QLC eSSD를 도입하는 움직임이 활발합니다.
QLC는 데이터를 4비트 단위로 저장하는 기술로, 저비용·대용량 저장이 가능해 Warm Data(중간 빈도로 접근되는 데이터) 저장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과거 HDD로 처리하던 영역을 QLC eSSD가 점점 대체하고 있으며, Google·Meta·NVIDIA 같은 글로벌 기업들이 AI 워크로드용 스토리지 혁신을 주도하면서 전환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 정리하자면, QLC eSSD는 “저렴하면서도 빠른 대용량 저장 장치”로, AI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 3. 주요 업체들, 생산능력(캐파) 확대에는 신중

흥미로운 점은 수요가 폭발하는 상황에서도 삼성전자, Kioxia/SanDisk 등 주요 NAND 제조사들이
생산라인 증설에 매우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유는 두 가지입니다.

  1. 세대 전환 속도 문제 – 공정 미세화가 빨라지면서 새로운 기술 도입과 인증 절차가 길어짐
  2. 공급 과잉에 대한 경계 – 불확실한 경기 속에서 무리한 캐파 증설은 리스크로 작용

결과적으로 공급은 제한적, 가격은 상승 압력을 받고 있습니다.


💰 4. NAND 가격, 예상보다 빠른 반등세

2025년 9월, 낸드 가격이 예상보다 강하게 반등했습니다.
엔터프라이즈 수요가 급증하면서 제조사들이 마진이 높은 eSSD 제품에 물량을 우선 배정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소비자용 제품과 웨이퍼 가격도 함께 올랐습니다.
IBK는 다음과 같이 전망합니다.

  • 3분기(3Q25) NAND 평균판매가격(ASP): +6% 상승
  • 4분기(4Q25) 전망: +2~5% 추가 상승 가능성

만약 공급 부족이 지속된다면, 바이어 저항에도 불구하고 5% 이상 상승할 가능성도 있다고 봤습니다.


🔍 5. 낸드 가격 트렌드 요약

구분 2025년 4분기 가격 가격 변동률 (MoM) 특징
MLC (32~128Gb) -1% ~ -2.5% 안정세
TLC (256~1Tb) +0.8% ~ +8.0% 수요 강세
QLC (1Tb) +0.5% 완만한 상승세

특히 TLC(Triple-Level Cell) 제품군은 CSP(클라우드 서비스 업체) 수요 확대 덕분에 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았습니다.


📊 6. 투자 포인트 정리

  • 공급 제약: 2026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전망
  • eSSD 중심 수요 회복: AI·클라우드 기반 데이터센터 확장
  • QLC 전환 가속화: HDD 시장 빠르게 잠식 중
  • 가격 상승 추세: 공급 부족 + 엔터프라이즈 우선 배정 영향
  • 생산확대 제한적: 삼성전자·Kioxia 등 보수적 전략 유지

💡 마무리: “데이터 저장의 판이 바뀐다”

지금의 반도체 시장은 단순한 경기 회복이 아니라 데이터 저장 구조 자체가 바뀌는 전환기입니다.
QLC eSSD는 AI,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시대의 ‘필수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으며,
기업들은 속도보다 안정성과 효율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 1~2년간은 eSSD 중심의 낸드 시장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QLC·eSSD 관련 기업들의 기술 경쟁력과 수익 구조 변화를 주목해야 할 시점입니다.


출처: IBK투자증권 「NAND Trend-Monthly」 (2025년 10월 1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