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제약·바이오 섹터 전망: 과도한 우려 속의 기회 구간
최근 코스닥 제약·바이오주가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신한투자증권은 이번 조정을 **“펀더멘털(기초 체력)과 무관한 수급 이슈에 따른 단기 하락”**으로 평가하며, 오히려 저점 매수 기회로 보고 있습니다.
1. 📉 하락 원인, 하지만 근본적 문제는 아니다
최근 바이오주 하락은 세 가지 이유로 분석됩니다.
- 타 섹터로의 수급 이동
에너지·2차전지 등으로 자금이 이동하면서 바이오 섹터의 단기 유동성이 줄어든 영향입니다. - L/O(기술이전) 지연 우려
실제 지연이 아닌, ‘혹시나’ 하는 추측으로 시장에 불안심리가 확산된 상황입니다. - 연말 대주주 양도세 이슈 학습 효과
지난해 11월 양도세 이슈로 주가가 크게 조정받았던 경험이 올해에도 조기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처럼 펀더멘털과는 무관한 하락 요인이 대부분이라는 점이 핵심입니다.
2. 💡 과거에도 비슷했다, 그리고 반등했다
지난 3년간 코스닥150 헬스케어 지수는
‘양도세 이슈’나 ‘공매도 재개’와 같은 수급 악재 이후 반드시 큰 폭의 반등을 보여왔습니다.
- 2024년 11월: 대주주 양도세 회피 매물로 -19.9% 하락
→ 3주 만에 +29.7% 급반등 - 2025년 4월: 공매도 재개 우려로 -16% 하락
→ 에이비엘바이오-GSK L/O 체결 후 +42.6% 상승
즉, 이번 조정 역시 **“기회 구간”**이라는 점이 반복적으로 증명되고 있습니다.
3. 🚀 실적보다 빠른 성과, 제약·바이오의 퀀텀 점프
국내 바이오 산업은 2024~2025년에 걸쳐
역대급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 유한양행/오스코텍의 FDA 승인(2024.8)
- 알테오젠의 FDA 승인(2025.9)
- 디앤디파마텍 자회사 ‘멧세라’의 화이자 인수 결정(73억달러 규모)
이는 지난 10년간 없었던 실질적 성과로,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바이오의 위상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4. 🔍 앞으로 주목해야 할 주요 이벤트
2025년 하반기부터 2026년까지는
여러 주요 바이오텍 기업의 임상 및 기술이전(L/O) 이슈가 집중되어 있습니다.
기업주요 이벤트시기비고
| 알테오젠 | 키트루다SC FDA 승인 및 출시 | 9~10월 | 로열티 수익 본격 반영 |
| 한올바이오파마 | IMVT-1402 2b/3상 중간 결과 | 2026 상반기 | 그레이브스병 치료 기대 |
| 에이비엘바이오 | ABL001 담도암 치료제 FDA 가속 승인 신청 | 2026 1분기 | 파이프라인 확장 |
| 올릭스 | MASH 치료제 1b상 결과 및 2상 진입 | 2025 하반기~2026 | 일라이릴리와 공동 진행 |
| 보로노이 | 차세대 EGFR TKI 임상 데이터 발표 | 2025 10월 | 글로벌 파트너 협의 중 |
| 디앤디파마텍 | 비만·MASH 치료제 임상 결과 발표 | 2026 상반기 | 화이자와 시너지 기대 |
이처럼 다수의 기업이
글로벌 임상 후반 단계에 진입하고 있으며,
FDA 승인 가능성이 높은 파이프라인들이 줄줄이 대기 중입니다.
5. 💬 투자 포인트: “지금은 겁낼 때가 아니라 담을 때”
- 펀더멘털은 견고하다
다수의 신약 후보가 임상 후반부에 진입하면서
향후 1~2년 내 가시적 매출이 예상됩니다. - 글로벌 제약사와의 협업 확대
2025년 들어서만 10건이 넘는 대형 기술이전 계약이 체결되며
해외 의존도가 아닌 공동개발 중심 구조로 변화 중입니다. - 미국 바이오 지수(NBI) 반등세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미국 바이오 시장은
코로나19 이후 최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6. 📈 결론: 제약·바이오 “비중확대 유지”
신한투자증권은 제약·바이오 섹터에 대해
“비중확대(Overweight)” 의견을 유지했습니다.
- 단기적 하락은 ‘수급 이슈’에 불과하며
- 장기적으로는 ‘신약 개발 및 글로벌 파트너십 성과’가 이어질 전망
즉, 과도한 우려는 언제나 기회였다는 말이
올해에도 다시 한번 증명되고 있는 셈입니다.
📚 참고자료
출처: 신한투자증권, 「제약/바이오: 과도한 우려는 항상 기회였다」 (2025.10.17)
